신고리 5ᆞ6호기 건설, 300여개사 참여 연간 400만명 투입

원전 산업계에 희소식이다. 마침내 8조6254억 원 규모의 초대형 건설프로젝트인 신고리 5ㆍ6호기가 건설허가를 취득한 것이다.

23일 신고리 5ㆍ6호기가 총 45개월간의 안전성 심사와 규제기관의 심의를 거쳐 최종 건설허가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기기, 보조기기, 시공 및 협력업체 등 총 300여 업체가 참여하고 연인원 400만명이 투입되는 대형 건설의 봉인해제로 국내 원자력계는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특히 공사착수를 위해 모든 준비를 마치고 건설허가가 나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려온 원전 기자재 중소기업과 시공사 복수의 관계자들은 “가뭄에 단비를 만났다. 조속한 시일 내로 공사가 이뤄지길 고대한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면서 “UAE 수출원전과 동일 노형인 신고리 5ㆍ6호기 건설프로젝트에서 철저한 안전관리와 최상의 품질확보를 완수해 ‘원전비리’로 실추된 국내 원자력계의 신뢰를 되찾고 향후 APR1400의 추가 수출 가능성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각오를 다지고 있다.

신고리 5ㆍ6호기는 신형경수로(PWR) APR(Advanced Power Reactor)1400 표준설계를 적용하고 있다. APR1400는 설계수명 60년으로 1000MWe급 한국표준형 원자로에 비해 노심에 장전되는 핵연료집합체 수가 177개에서 241개로 늘어나고 열출력이 2815MWt에서 3983MWt 으로 증가했으며, 안전에 중요한 구조물, 계통, 기기에 대한 0.3g의 내진설계가 적용된다.

특히 원자로 강수관 직접 주입 방식의 4개의 독립된 안전주입계통 설치, 냉각재상실사고 시 노심에 비상 냉각수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안전주입탱크의 피동형 유량조절장치 설치, 외적요인으로 인한 사고 가능성을 줄이고 중대사고 방지에 도움을 주는 원자로격납건물 내의 재장전 수조 설치 등과 새로운 안전설계 개념을 도입한 설계이다. 이외에도 보조 건물을 4분면 배치해 화재, 홍수, 지진 등 외부 사건에 대해 대처능력을 향상시켰다.

APR1400은 국내에서 신고리 3ㆍ4호기 및 신한울 1ㆍ2호기로 건설허가를 취득했거나 운영허기를 취득한 바가 있다. 국외에서는 UAE 바라카원전 1ㆍ2호기에 대한 건설허가가 발급돼 건설과정에 있으며,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는 설계인증 심사를 수행 중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신고리 5ㆍ6호기는 참조발전소인 신한울 1ㆍ2호기 설계를 기본으로 부지특성, 국내외 선행 원전의 경험 및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경험(Lessons Learned), 규제기관의 인허가 요구사항 등 대폭적인 안전성관련 개선사항을 설계에 반영했다”면서 “대표적인 예로 신고리 5ㆍ6호기는 각각에 대체교류전원 디젤발전기를 설치하고 축전지 용량을 증대해 장기 소내정전사고(SBO)에 대비해 비상전원의 공급신뢰성을 향상시킨다”고 설명했다.

또 이 관계자는 “대형 민간항공기의 충돌 영향평가 및 방호설계를 적용시켰고, 중대사고 전용 비상원자로감압밸브 채택 등 안전성을 더욱 증진시켰다”면서 “아울러 발전소 수명기간 동안 안정적 운영관리를 위해 사용후핵연료 저장조의 저장용량을 60년분으로 설계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원안위 심의과정에서 중점사안이었던 부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한수원은 광역(부지반경 320km) 및 부지지역(부지반경 8km)에 대한 정밀지질 조사와 예정부지에 대한 정밀 트렌치 조사 등을 통해 가장 적합한 발전소 건물 위치 선정했으며, 이에 건설허가 신청시 선정한 위치에서 해안가로 약 50m 이동해 건설할 예정이다.

한편 일부 국회의원을 비롯해 그린피스, 핵없는사회를위한공동행동 등 NGO단체들은 “부산과 울산에 걸쳐 위치한 고리원전은 이미 세계 최다 원전 단지이며, 사고 시 치명적인 피해를 입는 원전 30km 반경에 382만명의 인구가 살고 있다”면서 “원안위 또한 다수호기 위험성 평가의 필요성은 인지하고 있음에도 현재 다수호기 위험성 평가의 방법이 제대로 개발되어있지 않다는 이유로 이번 심의에서 신고리 5ㆍ6호기 건설허가를 승인은 원안위의 ‘직무유기’”라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그러면서 NGO단체들은 “후쿠시마 사고에서 보았듯 한 부지에 여러 개의 원전이 위치할 경우 사고 확률이 증가하며, 사고 발생시 그 피해도 가중된다”며 “따라서 추가 원전 건설 심의에서 단일 원전만이 아니라 다수호기에 수반된 위험성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한국원자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