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300여개社 참여 年400만명 투입…8조6000억 초대형프로젝트
위변조 사건 이후 구매ㆍ품질제도 개선 등 사업일정 15개월 이상 지연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 일대 신고리 3ㆍ4호기 인접부지에 건설 예정인 신고리 5ㆍ6호기는 국내 세 번째로 건설되는 신형경수로 (Advanced Power Reactor)1400 노형으로 국내 건설원전 최초로 항공기충돌영향평가 결과와 각 호기 전용 안전성관련 대체교류발전기 신설 개념이 반영되는 등 보다 강화된 내진해석 등 최신 규제요건이 적용돼 안전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고리원자력본부 울주대외협력실
원전 산업계에 희소식이다. 마침내 8조6254억 원 규모의 초대형 건설프로젝트인 신고리 5ㆍ6호기가 건설허가를 취득한 것이다.

지난 23일 신고리 5ㆍ6호기가 총 45개월간의 안전성 심사와 규제기관의 심의를 거쳐 최종 건설허가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주기기, 보조기기, 시공 및 협력업체 등 총 300여 업체가 참여하고 연인원 400만명이 투입되는 대형 건설의 봉인해제에 국내 원자력 산업계는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특히 공사착수를 위해 모든 준비를 마치고 건설허가가 나오기만을 손꼽아 기다려온 원전 시공사와 기자재(BOP) 중소기업 복수의 관계자들은 “가뭄에 단비를 만났다. 조속한 시일 내로 공사가 이뤄지길 고대한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그러면서 기자재(BOP) 중소기업들은 “UAE 수출원전과 동일 노형인 신고리 5ㆍ6호기 건설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수를 위해 기자재의 철저한 품질확보와 적기 납품을 위해 모든 노력을 경주할 것"이며 "그로인해 ‘원전비리’로 실추된 국내 원자력계의 신뢰를 되찾고 향후 APR1400의 추가 수출 가능성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각오를 다지고 있다.

◆당초 계획보다 건설지연 ‘한수원-산업계’ 속 타들어가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신암리 일대에 건설 예정인 신고리 5ㆍ6호기는 신고리 3ㆍ4호기와 신한울 1ㆍ2호기에 이어 국내에서 세 번째로 건설되는 신형경수로 ‘APR(Advanced Power Reactor)1400’ 노형이다. 당초 2013년부터 주요 기자재 계약을 발주하고 2014년 9월 본관기초굴착 공사를 착수해 2020년 12월 준공을 완료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국내 원전 품질서류위조 파문으로 안전성 강화 및 품질프로세스 개선사항 등이 적극 반영되면서 불가피하게 전체 사업 일정이 지연됐다.

실제로 신고리 5ㆍ6호기의 주기기 계약과 보조기기 발주가 차일피일 미뤄지면서 2~3차 벤더 기자재 중소업체들은 경영위기에 내몰리는 등 정부와 한수원에 조속한 계약 추진을 촉구하는 민원을 제기해왔던 터다. 하지만 신고리 5ㆍ6호기 건설 지연에 속이 타는 쪽은 한수원도 마찬가지였다.

한수원 건설처 관계자는 신고리 5ㆍ6호기 건설 지연에 대해 “당시 사업이 지연될 수밖에 없었던 불가피한 대내외적인 상황 등이 있었지만 이 같은 자세한 상황이 외부로 오픈되지 않아 중소기업들을 비롯한 관련업계가 ‘이유없는 지연’에 대해 의문을 갖고 오해 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후 한수원은 원전 안전성 강화와 불확실성 해소 및 유기적인 공정관리를 위해 ‘설계-구매-제작-시공사’ 간의 사업일정 등을 조정해 2014년 4월 한국전력기술과 종합설계용역 계약(총 계약금액 4315억 원, 부가세포함) 체결한데 이어 그해 8월 두산중공업과 약 2조3000억 원 규모(부가세별도)의 원자로 설비(NSSS, Nuclear Steam Supply System)와 터빈발전기(T/G), MMIS 등 주기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또 2015년 6월에는 삼성물산 컨소시엄(삼성물산-두산중공업 EPC-한화건설)이 1조1775억 원(부가세포함)에 주설비공사(시공분야)의 최종 낙찰자로 선정했다.

그리고 그해 7월 한수원은 ‘건설원전 BOP SCM(보조기기 공급자망관리) 포럼’을 열고 중단 돼 있던 ‘한수원-공급사’간 소통의 창구를 뚫어 침체기를 겪고 있는 원전산업계 달래기에 적극 나섰다.

당시 포럼에서 이영일 한수원 사업본부장은 인사말을 통해 “최근 시행된 일련의 안전규제 강화조치가 당연한 결과이지만 그로인해 관련 산업체의 참여의지가 저하되고 사업여건 악화 등의 이유로 국내 원전산업 전반의 성장동력까지 둔화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시각이 존재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본부장은 “의기소침하거나 낙담할 필요가 없다”면서 “‘제7차 전력수급계획’안에 따르면 2029년까지 국내에 건설 중이거나 건설이 계획된 원전은 총 13기에 이르고 이집트를 비롯한 사우디아라비아, 체코, 말레이시아 등 원전 입 희망국이 증가함에 따라 내수시장 확대와 더불어 해외원전 수출 전망도 그 어느 때 보다 밝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원전산업계는 ‘하나의 공동체’로 우리나라 원전산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온 주역”이라고 강조한 이 본부장은 “보조기기 공급사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강화하고 상호협력을 통해 원전기술을 한 단계 높이며, 공급자 관리제도의 체계를 개선하고 절차를 합리화해 만족도를 높이는데 한수원이 앞장서겠다”고 약속한바 있다.

하지만 2015년 12월 신고리 신고리 5ㆍ6호기 건설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1년여 가까이 건설이 늦어지면서 원전 산업계가 불황을 겪고 있었다. 그리고 마침내 지난 23일 원안위로부터 건설허가 승인을 최종 받았다.

◆설계수명 60년…지진 및 대형 항공기 충돌 ‘건전성 유지’
신고리 5ㆍ6호기는 신형경수로(PWR) APR(Advanced Power Reactor)1400 표준설계를 적용하고 있다. APR1400는 설계수명 60년으로 1000MWe급 한국표준형 원자로에 비해 노심에 장전되는 핵연료집합체 수가 177개에서 241개로 늘어나고 열출력이 2815MWt에서 3983MWt 으로 증가했으며, 안전에 중요한 구조물, 계통, 기기에 대한 0.3g의 내진설계가 적용된다.

특히 원자로 강수관 직접 주입 방식의 4개의 독립된 안전주입계통 설치, 냉각재상실사고 시 노심에 비상 냉각수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안전주입탱크의 피동형 유량조절장치 설치, 외적요인으로 인한 사고 가능성을 줄이고 중대사고 방지에 도움을 주는 원자로격납건물 내의 재장전 수조 설치 등과 새로운 안전설계 개념을 도입한 설계이다. 이외에도 보조 건물을 4분면 배치해 화재, 홍수, 지진 등 외부 사건에 대해 대처능력을 향상시켰다.

APR1400은 국내에서 신고리 3ㆍ4호기 및 신한울 1ㆍ2호기로 건설허가를 취득했거나 운영허기를 취득한 바가 있다. 국외에서는 UAE 바라카원전 1ㆍ2호기에 대한 건설허가가 발급돼 건설과정에 있으며,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는 설계인증 심사를 수행 중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신고리 5ㆍ6호기는 참조발전소인 신한울 1ㆍ2호기 설계를 기본으로 부지특성, 국내외 선행 원전의 경험 및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경험(Lessons Learned), 규제기관의 인허가 요구사항 등 대폭적인 안전성관련 개선사항을 설계에 반영했다”면서 “대표적인 예로 신고리 5ㆍ6호기는 각각에 대체교류전원 디젤발전기를 설치하고 축전지 용량을 증대해 장기 소내정전사고(SBO)에 대비해 비상전원의 공급신뢰성을 향상시킨다”고 설명했다.

또 이 관계자는 “대형 민간항공기의 충돌 영향평가 및 방호설계를 적용시켰고, 중대사고 전용 비상원자로감압밸브 채택 등 안전성을 더욱 증진시켰다”면서 “아울러 발전소 수명기간 동안 안정적 운영관리를 위해 사용후핵연료 저장조의 저장용량을 60년분으로 설계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원안위 심의과정에서 중점사안이었던 부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한수원은 광역(부지반경 320km) 및 부지지역(부지반경 8km)에 대한 정밀지질 조사와 예정부지에 대한 정밀 트렌치 조사 등을 통해 가장 적합한 발전소 건물 위치 선정했으며, 이에 건설허가 신청시 선정한 위치에서 해안가로 약 50m 이동해 건설할 예정이다.

한편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신고리 5ㆍ6호기 건설은 총공사비 약 8조6254억 원이 투입돼 약 7년간 연인원 400만 명이 소요되는 초대형프로젝트이며, 이달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돌입하면 5호기는 2021년 3월, 6호기는 2022년 3월에 각각 준공된다.

특히 구조물공사가 시작되면 최대 약 5000여명의 근로자가 투입될 예정으로 신울진 1ㆍ2호기 건설 이후 추가수주가 없어 경영난에 직면했던 관련업계는 물론 침체된 울산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한국원자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