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국정감사]박재호 의원, 전력계통 안정성 유지에 관한 산자부 시뮬레이션 검증 결과 공개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역인 부산 고리 일대에 지진 등 외부요인에 의한 전력계통 안정성이 저하되면, 복구가 되지 않아 제2의 ‘후쿠시마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박재호(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7일 입법조사처에 의뢰한 ‘주파수 복구 시물레이션의 해석’ 자료를 공개했다.

이는 지난 7월 12일 박 의원의 요구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가 고리 일대 지진 발생에 따른 원전 10기의 동시 정지를 가정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주파수가 58.6㎐까지 떨어져 우리나라 전체 전력수요의 18%가 자동 차단되는 광역 정전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데 따른 것이다.

▲ 산업통상자원부 주파수 모의 결과
당시 산자부는 주파수가 59.6HZ 이하로 떨어지면 변전소에 설치된 ‘저주파수 계전기(UFR)’가 자동으로 작동돼 부하를 차단함으로써 블랙아웃이 현실화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입법조사처는 이와 정반대되는 연구 결과를 내놓은 것. 조사처는 우선 “산자부의 시뮬레이션에는 저주파수 계전기의 동작으로 인한 부하 차단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원전이 동시에 정지된 이후 2~3초 만에 주파수가 급강하는 것이 아니라 부하차단의 효과가 나타나면서 강하가 시작될 즈음, 주파수에 요동이 형성됐어야 하는데, 이번 모의결과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실제로 지난 2003년 미국 동북부 전력시스템 붕괴 시에는 주파수 요동이 형성됐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 “저주파수 계전기에 의해 부하를 한 번에 대량 차단하는 것 자체가 또 다른 충격이 되며, 주파수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계단식 부하차단으로 주파수를 회복해야 하나, 시뮬레이션에는 이러한 내용이 포함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 2003년 미국 동북부 전력시스템 붕괴 시 주파수
아울러 “2003년 미국과 캐나다를 강타한 최악의 대규모 정전 때도 저주파수 계전기가 작동했지만 전력 시스템 붕괴를 막지 못했다”며 저주파수 계전기로 불과 10여초 만에 즉시 운전 상태인 60Hz까지 회복할 수 있다는 산자부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유재국 국회 입법조사처 연구관은 “산자부의 시뮬레이션은 주파수가 떨어지는 과정에서 모든 터빈이 돌아가는 속도가 정확히 일치한다고 전제한 건데, 실제로는 조금씩 속도가 다르므로 58.6㎐까지 채 가지도 못하고 덜커덩 주저앉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국내 4개 원전본부에 설치돼 있는 이동형발전차
박재호 의원은 “입법조사처의 분석 결과는 한 부지에 여러 호기의 원전을 밀집시켜 놓으면 지진 등 외부요인에 의한 전력시스템 붕괴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데, 복구마저 불가능해 제2의 ‘후쿠시마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원전 밀집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수력원자력은 박 의원의 이 같은 주장에 즉각 해명에 나섰다. 한수원에 따르면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외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자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비상디젤발전기(호기별 2대)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 후 원전을 안전한 상태로 냉각할 수 있다. 또 해당 비상디젤발전기에는 내진설계가 되어 있어 지진 발생시에도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수원은 "추가적으로 전원 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별도의 디젤발전기가 예비로 설치되어 있고, 이와 별개로 이동이 가능한 차량에 탑재된 발전기 '이동형 발전차가 구비돼 있다"면서 "전력계통이 일시에 차단되더라도 비상디젤발전기, 예비디젤발전기, 이동형발전차와 같은 2중 3중의 자체 전력을 이용하여 원전을 안전하게 냉각할 수 있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원자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