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2016년 출원건수 2010년 대비 15배…세슘 관련기술 전체 출원 56%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내ㆍ외에서 방사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자주 부각되고 있다.

이에 최근 몇 년간 방사성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에 대한 출원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반감기가 길어서 체내에 흡수되면 인체에 해로운 방사성 세슘을 제거하는 흡착제에 관한 출원이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방사성 물질 제거를 위한 흡착제 관련 특허 출원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6년 한 해 관련 기술의 출원 건수는 2010년 대비 15배에 이르러 올해 4월 기준으로 총 61건(2010년∼2017년 4월)이 출원된 것으로 밝혀졌다.

출원된 특허는 대부분 국내 기업·기관의 것으로 조사됐으며, 외국 기업·기관의 출원 건수는 전체 출원 건수의 10% 수준에 불과하다.

전체 출원 건수의 21%가 한국원자력연구원, 16%가 경북대 및 안동대의 출원인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원전이 위치한 울진·월성 등의 지역이 관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고 연구개발 역시 활발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방사성 원소 중에서는 세슘에 대한 흡착 기술이 전체 출원의 56%(▲세슘=46% ▲세슘 및 스트론튬=1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슘-137(Caesium-137, Cs-137)은 핵분열시 발생하는 주요 방사성 동위원소(放射性 同位元素) 중 하나로 반감기가 30년에 이르며, 사람의 장기와 근육에 쉽게 축적돼 불임증, 전신마비, 골수암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이밖에도 혼합된 방사성 원소를 흡착하는 기술이 26%, 요오드에 대한 흡착 기술이 8%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우라늄, 루테늄, 텅스텐 및 몰리브덴을 흡착하는 기술도 출원됐다.

또 과거에는 천연 무기 물질을 흡착제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등 세슘 흡착제를 구성하는 재료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됐으나 최근에는 기존에 연구된 흡착용 물질의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파악됐다.

세슘과 같이 반감기가 긴 방사성 원소는 미량이라도 인체에 흡수되면 오랜 기간 체내에 잔존하여 유해한 영향을 끼치므로 극소량이라도 완벽하게 흡착할 수 있는 기술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반용병 특허청 정밀화학심사과장은 “정부는 2011년 이후 원자력안전법 개정 등 원자력에너지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노력을 경주해왔다”며 “특허청 역시 방사성 물질로 인한 피해의 예방을 위해 매진하는 발명자들을 위하여 관련 특허 동향을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원자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