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방사선안전관리 용역업체 노사 임금교섭 파행
민노총 공공연대, 지명파업 이어 무기한 총파업 '예고'

사진제공=민주노동 공공연대노동조합
사진제공=민주노동 공공연대노동조합

지난 6일 고리원자력발전소와 한울원자력발전소의 방사선안전관리 노동자들이 부분 파업을 강행했다.

민주노총 공동연대노동조합 원전방사선안전관리지회 소속 조합원 77명은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수력원자력, 하나원자력기술(주)에 파업을 통보하고 이날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3시간의 부분 파업을 실시했다.

노동조합은 "이번 파업으로 인한 방사선안전관리 공백의 책임은 교섭을 파행으로 몰고 간 하나원자력기술에 있다"면서 "아울러 관리감독의 책임이 있는 한수원와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적극적인 역할을 해줄 것"을 주장했다.

그러면서 "부분 파업 이후에도 사측(하나원자력기술)이 노동조합의 정당한 요구를 거부한다면 ‘방사선안전관리원’에 대한 지명 파업에 이어 무기한 총파업도 불사할 것"이라고 노조는 밝혔다.

특히 노조는 "용역업체의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전락한 방사선안전관리용역을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정규직 전환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면 용역형태를 ‘공사’로 우선 전환할 것"을 발주처인 한수원에 강력히 촉구했다.

노조는 "우선적으로 용역 형태만 전환하더라도 방사선안전관리 노동자들의 처우는 상당하게 개선될 것이며, 용역업체가 가져가는 수백 억원의 이윤이 고스란히 한수원의 재정으로 확보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노조는 "한수원이 용역업체의 배만 불리는 용역형태를 고집하는데, 한수원-용역업체간 유착관계를 합리적으로 의심할 수 밖에 없다"면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은 원전 업무 외주 중단, 정규직 전환 뿐"이라고 거듭 밝혔다.

고리원전, 한울원전, 새울원전의 방사선안전관리 노동자 320명은 지난해 5월 총회를 거친 후 6월 민주노총 공공연대노동조합에 가입했다.

한편 방사선안전관리 노동자들의 부분 파업으로 인한 원전 현장의 방사선안전관리 공백 우려에 대해 한수원은 "경상정비 방사선안전관리 용역계약 시 '필수유지 업무'에 대해 인력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단서조항'을 뒀기 때문에 이번 부분 파업으로 인한 현장의 업무공백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수원은 "현재 하나원자력기술 외에도 다수의 방사선안전관리 용역업체와 노동조합의 임금협상이 진행 중으로 교섭 파행이 (부분)파업으로 확진되지 않기를 바란다"면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원자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