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ERI-ETRI “획기적 증폭기술ㆍAI 활용한 스마트센서 정확도 99%”
휴대폰 배터리 3개 전력 9000㎃h로 36개월 사용가능 초저전력 자랑

액체나 기체를 사용하려면 배관(파이프)가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 주변 곳곳에서 쓰이는 배관의 핵심은 배관의 핵심은 냉장고 냉매 배관에서 반도체 공장의 가스 배관, 발전소의 압력 배관에 이르기까지 누출없이 안전하게 물질을 전달하는 것이다. 최근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융합연구 끝에 배관에서 누출이 발생하는 즉시 감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데 성공했다.

21일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SB융합연구단(단장 표철식)은 ‘스마트센서 기반 플랜트 초저전력 지능형 누출감시진단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연구원의 누출탐지 기술과 전자통신연구원의 AI 기술을 융합시켜 개발한 이 기술은 스마트 무선센서로 초미세 누출신호를 감지하고 증폭시켜 인공지능 추론서버를 통해 누출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99%의 진단 정확도는 물론이고 상용 제품 대비 최소 200배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9000㎃h(밀리암페어시) 건전지 한 개로 36개월간 누출을 감시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초저전력 스마트센싱 기술을 자랑한다.

스마트 무선센서로 미세한 누출을 감지하고 인공지능 추론서버를 거쳐 실시간으로 누출 여부를 판단하는 ‘초저전력 누출진단 기술’이 세계최초로 개발됐다. 높은 정확도와 초저전력, 저렴한 가격의 장점을 갖춰 산업현장에서 폭넓은 활용이 가능하다. ⓒ사진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
스마트 무선센서로 미세한 누출을 감지하고 인공지능 추론서버를 거쳐 실시간으로 누출 여부를 판단하는 ‘초저전력 누출진단 기술’이 세계최초로 개발됐다. 높은 정확도와 초저전력, 저렴한 가격의 장점을 갖춰 산업현장에서 폭넓은 활용이 가능하다. ⓒ사진제공=한국원자력연구원

이 기술을 활용하면 1.7기압 배관에 생긴 0.2㎜ 크기의 작은 구멍에서 1분당 90㏄의 누출이 발생했을 때, 스마트 무선센서를 통해 5m 이상의 먼 거리에서도 누출신호를 감지해낸다.

배관에 누출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소리는 40k㎐(킬로헤르츠) 전후의 초음파 대역에서 특징적인 신호를 보인다. 귀로 들을 수 있는 20㎐(헤르츠) 내지 20k㎐의 소리로도 확인할 수 있지만 누출이 미세하거나 주변 소음이 큰 경우 탐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기기구조예측진단연구부 관계자는 “초음파 대역의 신호는 누출여부를 정확히 탐지할 수 있는 반면 신호의 강도가 매우 약해 신호 증폭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초저전력 누출진단 기술은 누출 신호를 무려 45만 배 증폭시켜 5m 떨어진 곳에서도 충분히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추론을 통해 99% 정확도로 누출 여부를 정확히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상용화돼 있는 누출신호 탐지기들은 누출을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고 의심 정보만 수집하면서도 초고용량 배터리와 컴퓨터를 사용해 가격이 비싸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된 ‘초저전력 누출진단 기술’은 자체개발한 초저전력 누출감지 센서모듈과 저가형 인공지능 서버(라즈베리파이나 오드로이드)를 사용해 십만원대의 가격으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폭 넓은 수요가 예상된다.

또 기존 탐지기들이 초고용량 배터리나 유선 전력을 사용하는데, 무선 누출 감지 스마트센서는 휴대폰 배터리 3개 용량인 9000㎃h 원통형 건전지만으로도 3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지금껏 무선 누출 감지 기술의 최대 약점으로 꼽히던 잦은 배터리 교체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해낸 것이다.

박원석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이 각자의 전문분야를 융합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한 대표적인 사례”라며 “배관 누출은 안전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사안인 만큼, 산업계와 국민 생활 안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표철식 전자통신연구원 KSB융합연구단장은 “현재 다양한 기업들과 기술이전을 통한 실용화를 협의하고 있다”면서 “이 기술의 사업화가 신기술 적용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융합연구 성과 확산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원자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