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산업부-원전공기업-4개 지자체 등 이사회 구성, 오는 9월경 창립이사회 예정

2017년 6월 영구정지에 들어간 고리 1호기 해체를 통해 원전의 ‘건설-운영-해체(폐기물 관리)’에 걸친 전(全) 주기 원전 산업 체계를 완성하는 기회로 삼겠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2017년 6월 영구정지에 들어간 고리 1호기 해체를 통해 원전의 ‘건설-운영-해체(폐기물 관리)’에 걸친 전(全) 주기 원전 산업 체계를 완성하는 기회로 삼겠다는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원전해체산업 기술혁신을 주도하게 될 ‘원전해체연구소’가 법인설립 등기를 마쳤다. 이에 내년 하반기 착공예정인 연구소 건립에 더욱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와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은 원전해체산업 육성 및 기술혁신을 주도할 핵심 기반인 (재)원전해체연구소의 법인설립 등기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원전해체연구소는 한수원 등 공공기관이 출연한 공익 재단법인 형태로, 법인의 주된 사무소는 고리원자력본부가 위치한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소재한다. 법인 이사회는 최대 출연기관인 한수원(이사장 한수원 사장)을 비롯해 ▲한전KPS ▲한전원자력연료 ▲한전기술 ▲산업부 ▲부산ㆍ울산ㆍ경북ㆍ경주 등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추천인사 16명으로 구성됐으며, 창립이사회를 9월중 개최해 ‘원전해체연구소’ 건립방안 등에 대해 논의를 할 예정이다.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추진 계획’에 따르면 경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본원은 부산과 울산 접경지역에 7만3000㎡ 규모로, 중수로 해체를 연구하는 분원은 경주시 나아산업단지에 2만4000㎡ 규모로 건설될 예정이다. 또 해체연구소 건설에는 총 3223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한수원 등 공공기관이 1934억 원을 출연해 법인을 설립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설립 이후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장비구축 등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한수원은 원전해체의 수행 주체로써 원전해체연구소의 2021년 하반기 착공을 위해 사업비 조달, 공정관리, 인허가 등 초기 법인운영을 주도적으로 수행해 연구소 건립에 차질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원전해체연구소는 해체산업 기술 혁신을 위한 산업지원 및 연구기관으로서 원전해체산업 육성을 위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계획”이며 “원전해체기술의 실증과 기반을 활용한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의 원전해체기술을 고도화하고, 국내외 기술협력, 인력양성, 정보제공, 기술사업화 등의 산업계 지원을 통해 세계 원전해체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현재 전 세계적으로 운영 중인 원전은 약 450기이며, 이 가운데 운영 연수가 30년 이상 된 원전은 전체의 68%인 305기 이른다. 이로 인해 올해 중반 이후부터 세계 원전해체 시장이 본격 확대될 전망입니다. 해외 시장조사기관(Bates White)에 따르면 전 세계 원전 해체시장 규모는 549조원으로 추산되지만, 실제로 원전해체 실적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과 독일, 일본 3개국으로, 영구 정지된 원전 173개 중 21기만이 해체가 완료했다.

저작권자 © 한국원자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