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국내 원자력산업이 연일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이 수명연장 운영 중에 발생한 사고라 국내 노후 원전에 대한 수명연장 문제가 원전지역 중심으로 확산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사회문제로 불거지고 있다.

경주의 경우는 월성원전 1호기 수명연장을 앞두고 시민단체와 관련 사업자가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성명서를 통해 "이번에 사고가 난 일본 후쿠시마 1호기와 고리 1호기는 모두 수명연장을 한 것이며, 시민사회단체와 지역 주민들이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2009년 4월 1일 부터 가동을 중단하고 압력관 등 주요 부품을 교체한 월성 1호기는 지난 12월 수명연장 신청을 했고, 오는 6월 17일 재가동을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또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정부와 한수원은 후쿠시마를 원전 사고를 보면서도 월성 1호기 수명연장을 강행하면서 안전성 홍보에만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지난 9일부터 경주시내 일대에서 '월성 1호기 폐쇄 촉구 시민 서명 캠페인'을 펼치고 있으며, 이달 말까지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월성 1호기 수명연장 반대는 현재 건설 중인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경주 중ㆍ저준위방사성폐기물처분장)까지 그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경주환경운동연합은 "애초에 부지선정 당시부터 제기된 지질 안전성에 대한 문제를 정부가 애서 외면한 채 공사를 강행했다"며 "그로인해 2009년 돌연 공기지연 발표 이후 현재까지 처분장에 대한 부지 안정성 논란은 계획되고 있으며, 1단계 건설 중단은 물론 2단계 건설 계획도 철회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 같은 주장에 '벙어리 냉가슴'을 앓고 있는 쪽은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이다. 특히 지난달 경주로 본사를 이전해 지역기업으로 새로운 각오를 다지고 있는 공단으로써는 시민단체와 지역주민들의 반응에 무척이나 난감한 상황이다.

방폐공단 한 관계자는 “방폐장의 안전성은 인허가 과정에서 IAEA, 원자력안전기술원 등 국내외 전문가의 엄격한 검토를 통해 확인됐으며 지난해 7월 대한지질학회의 ‘공사지연 진상조사’에서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결론 났다”며 답답함을 호소했다.

또 이 관계자는 “더 이상의 논쟁이 발생하지 않도록 앞으로도 방폐장 건설 및 운영 등에 만전을 기할 것이니 경주시민과 단체들은 우려보다 믿음을 갖고 지켜봐 달라”고 당부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자력은 안전하지 않고 정부와 사업자는 무엇인가를 숨기고 있으며, 그래서 믿을 것이 못돼'라는 끝임없는 불신으로 가득한 환경‧시민단체들은 원자력 안전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정부와 사업자들을 마치 "믿지 못하는 게 아니라 믿지 않으려는 것" 처럼 보인다.

그러나 환경‧시민단체도 알고 있을 것이다. 원자력이 두려웠다면 원자폭탄이 투하된 1945년 인류는 원자력을 버렸어야 했고 또 TMI와 체르노빌 사고 역시 원자력과 원전을 버릴 수 있는 기회였다. 하지만 인류는 원자력을 버리지 않았다. 오히려 이를 다루는 기술 개발에 매진해봤다.

원전만큼 대용량의 경제적이며, 환경오염도 적은 에너지원은 없다. 원자력이라고 고집할 수밖에 없다면 더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는 원전 기술을 개발하면 될 것이고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비상상태에 대처할 대응전략 등을 세우면 된다.

환경‧시민단체가 우려하듯이 미리 걱정하고 그리 겁먹을 필요는 없다. 우리는 후쿠시마 사태를 통해 원전을 다루는 또 다른 기술을 개발하는 기회로 삼으면 된다. 지금은 정부와 원자력산업체가 원전을 다루는 기술 개발에 매진할 수 있도록 믿고 지켜봐주는 자세도 필요하다.

저작권자 © 한국원자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