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에네르고아톰과 MOU 체결…흐멜니츠키 3‧4호기 건설 재개
조석 사장, 본격 세일즈 나서…체코와 ‘신규원전 건설사업’ 협력방안 논의

▲ 31일 우크라이나 키예프에서 '한수원-에네르고아톰 MOU 체결' 후 조석 사장과 유리 네다쉬코프스키 사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수원이 핀란드 오킬로토(Olkiluoto)원전 4호기 수출 좌절로 주춤했던 유럽 원전건설 시장 진출의 불씨를 다시 지폈다.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조석)은 31일 우크라이나 키예프에서 에네르고아톰(Energoatom, 사장 유리 네다쉬코프스키)사와 건설 중단된 원전사업의 재개 등의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날 양사는 흐멜니츠키(Khmelnitsky) 원전 3‧4호기 건설 재개사업을 위한 공동운영위원회를 즉시 구성해 상호 협력방안을 도출하고 상업적 협약서를 개발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1985년부터 러시아의 아톰스트로이엑스포트(ASE, AtomStroyExport)가 건설 중이던 흐멜니츠키 3‧4호기(VVER-1000 원자로)는 건설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며, 수차례 난황을 겪어왔다. 그러나 2010년 러시아는 새로운 협정을 통해 39억9000억 달러(약 4조6300억 원) 상당의 투자를 약속하기도 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크리미아 합병(2014년 3월)과 천연가스 공급중단 사태 등 러시아와의 알력이 심해지고 있어 친(親)구미파 정권하에서 원자력분야의 탈러시아화를 선언했다.

2015년 7월 아르세니 야체뉴크 총리는 건설 중인 흐멜니츠키 3‧4호기의 완공계획에 대해 러시아와 2010년에 체결한 협력협정 해제를 의회에 제안했고 그해 9월 의회는 “러시아의 아톰스트로이엑스포트사가 2010년 6월 체결된 신규원전 건설공사 계약에 따른 의무를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했다”면서 협정의 폐기법안을 승인했다.

이에 우크라이나 정부는 체코와 중국 등 새로운 파트너 물색에 나섰으며 “새로운 파트너는 국제적인 경험을 가진 회사가 돼야 한다”고 언론을 통해 밝혀왔다.

실제로 그해 10월에 미국 상무부 공식방문단에 참여한 웨스팅하우스사는 우크라이나 원전의 효율성, 안전성 개선 포괄 프로그램을 지원, 협력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또 에네르고아톰은 러시아 TVEL사에서 구입했던 원전용 핵연료의 구입량을 대폭 늘이기로 웨스팅하우스사와 합의했으며, 프랑스 아레바사와 농축우라늄 공급계약과 원자로의 안전성, 신뢰성 향상을 위한 협력강화각서를 각각 체결한 바 있다.

이번 MOU체결 이후 조석 한수원 사장은 “40여 년간의 원전 건설과 운영을 통해 우수한 경험인력과 기술력을 보유한 한수원과 에네르고아톰사가 힘을 합친다면 흐멜니츠키 3‧4호기 건설재개사업이 성공적으로 완수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수원은 산업통상자원부 및 국내외 원전 관련사와 협력해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에네르고아톰사는 우크라이나 국영 원자력공사로서 15기의 원전을 운영해 우크라이나 전체 전력의 약 50%를 공급하고 있으며, 2035년까지 700만kW 규모(100만kW급×7기)의 신규원전을 건설할 계획이다. 흐멜니츠키 3‧4호기는 착공 이후 32년이 지난 8월 현재 3호기는 75%, 4호기는 25%의 공정률을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정부는 지난 6월 13일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통해 “한전에서 독점하던 원전수출 총괄기능을 40여년 원전운영의 노하우와 기술적인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한수원에 원전 수출 총괄기능을 부여해 원전산업의 해외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정부 및 유관기관, 재외공관, KOTRA 등과 긴밀히 협력해 해외 원전사업 진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조석 사장은 우크라이나 방문에 앞서 지난 29일 체코를 방문해 체코 정부 고위관계자와 체코원자력공사 경영진을 면담하고 신규원전 건설사업 협력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체코 정부는 2015년 5월 개정판 ‘장기 에너지전략(ASEK)’을 발표하면서 원자력발전 비율을 현재의 35%에서 2040년까지 46~58%로 증강할 방침을 명시했다.

소보트카(Sobotka) 총리는 “국가 재정상 리스크가 있는 가격 보증은 하지 않지만 증설계획을 추진하기 위한 모든 수단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믈라덱(Mladek) 산업무역부 장관은 “에너지 부문에서의 탄소 배출 감축목표와 유럽 경제상황 등을 반영하지 않은 2004년판의 오래된 국가에너지정책을 폐기했다”고 설명했다.

체코에서는 두코바니(Dukovany) 원전 1~4호기와 테멜린(Temelin) 1‧2호기가 가동 중이다. 2014년에 테멜린 3‧4호기 증설 입찰절차가 중단됐지만 여전히 원전 증설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원자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