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硏-벨라루스 국립과학원, 원전해체기술 상호협력
실제 현장서 오염부지 방폐물 분포 모니터링 기회 마련

문재인 정부의 ‘핵심정책’으로 떠오른 원전해체를 위해 상용화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개발된 기술을 실제 현장에서 검증해 볼 길이 요원했다. 그러나 국제협력을 통해 우리가 보유한 원전해체 기술을 오염 현장에서 검증할 수 있게 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박원석)은 벨라루스 국립과학원(NASB,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Belarus)과 ‘원자력시설 해체 및 부지복원 분야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현지시각으로 지난 8일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체결했다고 밝혔다.

동유럽에 위치한 벨라루스는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 당시 국토의 20% 이상이 오염됐지만 현재까지 오염부지 내부의 정확한 오염분포 측정이나 오염토양 처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벨라루스 국립과학원은 우리나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와 유사하게 산하 52개 연구소 및 센터를 두고 있으며, 기초 및 응용 연구를 포함한 모든 주제의 과학 활동 기획 및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원자력연구원은 개발 중인 원자력시설 해체 핵심기술의 타당성과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벨라루스 현지의 오염 시설과 부지를 이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던 상황에서 양 기관간 기술협력을 도모하게 된 것.

먼저 양 기관은 이번 MOU를 통해 ▲방사성 오염 시설ㆍ부지에 대한 모니터링 ▲방사성폐기물 및 오염 토양의 처리에 관한 기술협력을 시작하고 향후 ▲해체 핵심기술 검증 ▲부지복원 분야 공동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 또 양측이 보유한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현장 적용성이 강화된 기술을 공동으로 개발ㆍ적용함으로써 상호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최희주 한국원자력연구원 핵주기환경연구소장은 “이번 MOU가 시설 제염 및 부지복원 분야에서 많은 경험을 보유한 벨라루스측과 해체기술 분야에서 미래지향적 파트너쉽을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벨라루스와의 원자력 분야 기술 협력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원자력연구원은 MOU 체결과 함께 ‘한-벨라루스 미래원자력협력 포럼’을 개최해, 양측 전문가들이 모여 기술 개발 상황을 공유하고 앞으로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토의했다.

원자력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벨라루스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등 유라시아 지역 국가와도 실질적 협력을 위한 외연을 꾸준히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한국원자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