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부터 원전 출력감소 10회 실시 ‘경직성’ 단점 극복
원자력업계, 원자력 발전은 기저부하로서 역할 최적 적임“

원자력발전소는 기저부하로서 '유연성 전원'으로 안정적인 전력공급원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사진 = 원자력신문 DB
원자력발전소는 기저부하로서 '유연성 전원'으로 안정적인 전력공급원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사진 = 원자력신문 DB

국내 원자력 발전이 ‘경직성 전원’이라는 단점을 극복하고 기저부하로서 ‘유연성 전원’의 안전성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직성 전원’이란 전력수요 변화나 재생에너지 출력변화에 따라 즉각 발전량을 증감하지 못하는 발전원으로서 원전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로 제기되어 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한무경(국민의힘, 비례대표)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원전에서 진행된 출력 감소 횟수는 2020년 4회, 2021년 6회로 총 10회 진행됐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20년 5월 3일, 9월 30일부터 10월 5일까지 신고리 3·4호기를 대상으로 각각 290MW 출력을 감소해 운영하고, 2021년에는 2월 11일일부터 14일까지 신고리 3·4호기, 9월 7일부터 9일까지 신고리 1·2·4호기, 9월 19일부터 23일까지 신고리 4호기에 대해 출력감소를 진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수원의 출력감소는 전력거래소 요청으로 진행됐다. 출력감소 급전지시를 받은 발전소는 사전 준비(출력감소량, 출력감소율, 붕산주입량 계산 등) 후 종합운전 절차서에 따라 출력 감소 운전을 수행한다.

전력거래소는 “경부하 기간 주파수 안정 및 변전소 변압기 정비 등의 사유로 출력감소를 요청했고, 유관기관과 충분한 협의를 통해 원자력 설비 안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시행됐다”고 밝혔다.

일부에서는 원전 감발을 위해 핵연료제어봉을 조작하거나 붕산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으나, 원자력발전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출력감소가 안전하다고 밝혔다.

원안위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원전의 출력변화는 반응도 제어, 출력 분포 등이 기술된 운영기술지침서에서 정한 범위 내에서 수행되며, 제어봉 삽입 또는 붕산 주입의 방법으로 수행되는 원전의 출력감소는 안전성이 확인된 절차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어 “미국 일부 원전의 경우 특정 기간(재생에너지 증가, 전력수요 감소)에 계획된 출력감소 운전을 수행하고 있고, 프랑스, 독일의 경우 수십 년 전부터 원전 부하추종운전을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안위와 한수원의 입장을 종합하면, 그동안 ‘경직성 전원’으로 지적받은 원전이 출력감소를 수 차례 진행하면서 ‘유연성 전원’으로 검증받았고, 출력을 감소하는 과정에서의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다는 것이 입증됐다.

한무경 의원은 “원전 반대론자들이 지적하고 있는 원전의 경직성 문제는 국내에서 수 차례 진행된 출력감소 실적으로 해소됐다”며 “특히 안전성이 확보된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원전이 경직성 전원이라는 지적은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원자력산업계 김병기 전 한수원 노조위원장은 “원자력발전소는 기저부하 전원으로서 우리나라 전력 안전공급원으로서 최적의 발전원”이라고 강조하고 “일부 탈핵 단체가 주장하는 원자력발전은 ‘경직성 전원’이 아니고 ‘유연성 전원’이라는 한무경 의원의 주장이 타당하다”고 덧붙였다.

조기양 사실과 네트웍 공동 대표 역시 “태양광, 풍력발전은 기후변화에 따라 발전량이 급격히 떨어지거나 늘어나는 경직성 전원”이라고 말하고 “바람이 많이 불거나 일조량이 급격히 떨어지면 발전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태양광, 풍력발전은 유연성 전원이라고 할 수 없다”며 신재생 발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저작권자 © 한국원자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